728x90
반응형

전체 글 410

오늘은 자몽의 종류!!!

어제는 자몽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자몽을 알아보다 보니... 생각보다 종류가 너무 다양해서.. 오늘은 자몽 종류를... 조사한 만큼 나열해보고자 합니다. 자몽은 전 포스팅에서도 언급했듯이 덴마크 다이어트로 엄청난 인기를 누렸습니다. 지금도 많이 하고 있으나.. 예전보다는 그렇게 인기가 있진 못합니다. 그래도 여기저기.. 특히 샐러드에 많이 먹고.. 요즘은 에이드로도 많이 소비되고 있다고 합니다. 자몽은 "Grape fruit"으로 자몽이 열리는 생김새 때문에 이름이 붙었습니다. 자몽은 바사형으로 열매를 맺어 멀리서 보면 나무에 커다란 포도알이 매달린 것처럼 보인다고 하여 붙여졌다고 합니다. - 레드자몽 우리가 주로 많이 볼 수 있는 자몽으로 빨간 과육을 가진 레드 자몽입니다. "루비 자몽" 이라고도 불..

자몽!! 그 시큼한.. ㅋㅋ 풍미라고 하던데.. 전 머가 풍미인지...

어제 봄비가 전국적으로 내렸다고 합니다. 다들 봄 기운을 느끼고 계신가요? 어제 비도 오고 그래서... 변명이지만.. ㅋㅋ 와인 한잔 했습니다. 오랜만에 자몽을 넣고 1시간.. 만 있다가 먹었는데. ㅋㅋ 자몽을 넣고 안 넣고의 차이는 정말 크네요. 매번 사용만 하지.. 어떤지는 모르는.. 자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몽은 단맛과 함께 신맛, 씁슬한 맛등 다양한 풍미를 느낄 수 있는 과일입니다. 엄청난 쓴맛과 약간의 단맛??, 그리고 신맛으로 조합되어 있는 자몽은 주로 샐러드나 과일스무디, 에이드 등을 통해 섭취하고 있는데.. 최근 와인에 넣어 먹으면 와인 자체의 씁쓸한 맛을 확 죽여줘서 저는 와인에 자주 넣어 먹습니다. 자몽은 1970년대에 미국에서 다이어트 식품으로 대중화가 되었습니다. 현재는 전 세..

참치.. 이제는 일식집에서 이해할 수 있는 잡스러운 상식!

참치회를 먹으러 일식집을 가게 되면 일식집 사장님? 아님 아르바이트 하시는 분?? 들이 정말 친절하게 설명을 해주십니다. 어느부위.. 어느부위... 그렇게 많이는 안 가봤지만.. 그래도 갈때마다 듣기는 하는데.... 도통 이해를 못해서... 항상 어려웠습니다. 대충 눈으로 구분하는 것은 지방이 많다 적다.. 정도.. 오늘은 조금이나마 일식집에서 아는척이라도 하고자 참치 부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참치는 돼지고기, 소고기와 마찬가지로 다양하게 여러부위들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크게 나뉘어 보면 머리부분부터 아가미살, 가마살, 등살, 뱃살로 구분됩니다. - 아가미살 붉은색의 육인 아가미살은 기름이 많고 다른 부위에 비해 매우 연합니다. 기름기가 많은 부위로 언뜻.. 소고기가 생각날 정도로 정말 비슷..

바다의 소고기!! 참다랑어!! 참치의 세계

참다랑어라고 하면 보통 생선이라고 하는데... 우린 참치라고 하며 바로 생각나는 것이 통조림 참치... 그정도로 우리에게 밀접하게 있는 통조림 참치... 회사에 들어가게 되면서 한번씩 먹을 기회가 많아지고 있더라구요. 학생때는 꿈도 못꾼 참치회...를 먹는 저의 모습을 보면.. 뿌듯한것도 있지만.. 참 늙었구나.. 옛날의 참치캔을 먹던 시절이 떠오르네요. 오늘은 참치.. 아니 참다랑어에 대해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참다랑어는 4월에서 6월까지 제철음식으로 맛과 영양이 가장 높을 때에 섭취하면 정말 우리 건강 관리에 도움을 줍니다. 어제 참치 먹을 기회가 있어 일식집에 가게 되었고, 일식집 사장님이. 지금이 가장 맛있는 제철이라고 하시더라구요. 4월이 되면 기름이 좀 많이 올라온다고 하시던데.. 머 개인 취..

곧 제철이 다가오는 그분!!! 키조개

크기부터 압도적인 조개!!! 조개구이 집에 가면 거의 볼 수 있는 키조개!! 관자로만 따로 구매할 수 있어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며.. 특히 장흥삼합으로 많이 먹는!!! 정말 맛있는 키조개에 대해 포스팅 해보고자 합니다. 오늘 포스팅은 왠지 힘이 나네요. 다른 조개와 비교도 안 될 정도로 크기에서 압도적인 키조개는 크기만큼 영양도 풍부하여 조개의 왕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키조개의 껍데기 길이가 25-30cm에 달할 정도로 압도적인 크기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키조개 껍데기의 끝부분이 매우 뾰족하고 아래로 갈수록 점점 넒어지는 삼각형 모양하고 있는데, 이 모양이 쌀이나 보리 등의 곡식에서 쭉정이나 티끌을 골라내는 도구인 "키"와 비슷하여 키조개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습니다. 부산에서는 "채이조개", 남도지역에..

고급진 느낌이 나는 그 생선.. 참조기.. 공중에 진상되는 공상품!!

제사나 잔치 등에 특별한 날에만 볼 수 있었던 참조기는 담백한 맛이 일품이며, 탄력있는 살들이 저에겐 참 매력적인 바닷물고기입니다. 현재는 유통이 좋아 쉽게 구할 수 있는 참조기!! 이 참조기가 3월에 제철이라고 하여 오늘도 열심히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참조기는 민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로 몸길이는 30cm정도로써, 꼬리 자루는 가늘고 길며 몸의 빛깔은 회색을 띤 황금색입니다. 우리나라의 서남해와 중국해 일대와 대만 근해에서 주로 볼 수 있따고 합니다. 비린내가 적고 담백한 맛이 특징인 조기는 구이나 찜, 조림, 매운탕 등의 다양한 요리를 통해 우리가 즐기고 있습니다. 조기를 소금에 절인 조기젓은 조선시대 때 고급젓갈로 이용되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수확되는 참조기는 다른 어느 나라보다 품질이 우수하..

국민흿감!!! 광어!!! 넙치??

항상 제철음식으로 포스팅을 하고 있었습니다. 오늘은 그와 좀 다른 느낌으로!! 가장 맛없는 시기를 보내고 있는 광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광어가 가장 맛없는 시기는 3~5월로 산란기가 끝난 후라 우리가 가장 사랑하는 흿감이지만.. 이 시기만은... 피해야 될 것 같습니다. 오늘은 국민흿감 광어에 대해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광어는 가자미목 넙치과에 속하는 바다에서 사는 물고기로써, 순 우리말은 넙치!!! 그럼 광어라는 이름은 한자어라고 합니다. 광어는 국이나 매우낭, 튀김 등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비린내가 적고 쫄깃한 식감이 좋아 국민흿감으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신종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회 소비 트렌드까지 바꾸고 있다고 합니다. 주요 산지들의 출하량이 급격하게 줄어들게 되면서....

물가자미??미주구리?? 가자미의 세계!!

오늘은 가자미중에서 물가자미에 대해 포스팅 해볼까 합니다. 긴 타원형의 납작한 생김새를 가진 가자미는 우리나라에서 친숙하게 볼 수 있는 생선입니다. 씹는 감촉이 좋으며 맛 또한 좋아서 회, 구이, 찜 등의 다양하게 이용하게 있습니다. 그 중에서 동해지역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물 가자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살에 수분이 많아 참가자미나 도다리보다 맛이 떨어진다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저렴한 가자미로 인식되어 살고 있지만 제철인 3월에는 썰어 먹는 물회 맛은 물가자미가 최고라고 단언할 만큼 3월 동해안의 인기 있는 어종 중의 하나입니다. 또다른 표현으로 '미주구리'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동해안에서 방언으로 불리는데... 물가자미도... 기름가자미도 동일하게 불러서 다들 혼돈을 주고 있습..

봄 도다리!!! 도다리 쑥국!!! 봄이 왔어용!!

봄은 도다리, 가을은 전어!!! 집나간 며느리를 찾으려면 가을에는 전어를 굽고 봄에는 도다리 쑥국을 끓여라는 말이 있듯이 봄의 도다리는 과연 최고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오늘은 봄을 알리는 그 아이!!! 도다리에 대해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도다리는 가자미목 가자미과에 속합니다. 북서태평양의 온대 해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군산, 목포, 여수, 마산, 진해 및 부산에 걸친 남해안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바닥이 진흙과 모래로 된 연안지역에서 서식하고 있으며 몸길이는 약 30cm 정도로 몸이 납작하고 마름모에 가까운 형태를 지니고 있어 광어라고도 불리는 넙치와 형태가 유사합니다. 넙치는 왼쪽으로 눈이 몰려 있는 반면에 도다리는 오른쪽으로 눈이 치우쳐져 있습니다. 넙치는 이빨이 있고 입이 큰데 반해..

똥죽조개?? 바지락의 사촌 느낌의!!! 동죽조개!

그리 멀지 않은.. 과거에는.. 정말 싸고 흔해서 국물요리에서 주로 사용하였던 동죽조개.. 하도 많아서 서해안에서는 똥죽 조개라고 불리던 시절이 있었다고 합니다.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다 보니.. 몸값이 정말 많이 오른 귀한 식재료가 되었습니다. 관심도 있겠지만.. 서해안의 간척사업으로 인해 갯벌이 줄어들게 되면서 바지락과 함께 동죽 조개의 생산량이 급갑하게 된 이유도 있긴 합니다. 인간의 욕심으로 많은 생명들의 터전을 없애고 있는지 아쉬움을 생각하게 되는... 암튼 오늘은 동죽조개에 대해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동죽 조개는 채취할때 물총을 쏘듯 물을 뿜는다고 해서 물총조개라는 또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철은 3~4월이며 먹는 방법은 국물 요리에 많이 접목 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서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