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410

바다의 소고기!!! 피조개?? 큰 꼬막???

겉은 꼬막이랑 비슷하게 생겼으면서 꼬막보다 훨씬 크고, 속살은 붉은 빛깔에.. 조갯살을 가르면 새빨간 피가 나오는 듯한 모습을 보이는 조개이름은.. 피조개라고 합니다. 꼬막이랑 비슷해서 피꼬막이라고도 부른다고 합니다. 현재 제철을 맞아 많은 분들이 건강을 위해 찾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제철에 먹는 피조개는 바다의 소고기가 불릴정도로 정말 좋다고 합니다. 오늘은 피조개에 대해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피조개는 꼬막조개과에 속하는 어패류로서 혈색소로 헤모시아닌을 지니고 있어서 살색이 붉게 보입니다. 피조개는 바다의 소고기라 불릴만큼 단백질이 풍부하며 필수아미노산, 미네랄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정말 효능에 좋습니다. 피조개는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필리핀 등지에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크기는 꼬막류중에 가장 크..

지금이라도 드시는게... 새조개!!!

새조개는 이미 제철에 절정을 가고 있다고 합니다. 보통 1월에서 3월로 제철이라고 하지만... 2월까지가 최고의 맛을 자랑하고.. 3월에 들어서게 되면 맛이나 향이 줄어든다고 합니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으니.. 우리 새조개 하나 먹어보러 가는게 어떨까 생각이 드네요. 오늘은 새조개에 대해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새조개는 양식 하는 방법이 아직 개발되지 않아 자연산만 유통되고 우리가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심지어 수확이 가능한 지역도 몇 군데 되지 않아서 구하기가 참 어렵다고 합니다. 그래서 고급 수산물로 분류되어서 가격도 어패류에 비해 비싼 쪽에 속합니다. 어린 아이 주먹만한 새조개는 외양만 보게 되면 꼬막이나 피조개를 연상될 수 있으나 엄연히 다릅니다. 물속에서 긴다리를 내밀로 더듬는 모습은 꼬막이나 ..

주꾸미의 철이 벌써 왔다고 합니다.!!!

땅에서 만날수 있는 다양한 봄 제철 채소들이 있습니다. 땅 뿐만 아니라 바다에서도 우리에게 봄을 알려주는 생물이 있습니다. 그 생물 중에 하나가 주꾸미 입니다. "봄 주꾸미, 가을 낙지" 라는 표현이 있듯이 봄의 제철을 가진 주꾸미는 정말 다양하게 즐겨 먹으며 많은 효능을 저희에게 선사해줍니다. 오늘은 주꾸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꾸미는 3월의 시작으로 5월 사이에 살이 가득 차 있는 제철입니다. 몸보신의 대명사 중의 하나인 주꾸미는 문어와 낙지의 사촌격입니다. 주꾸미는 생각보다 많은 영양가가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먼저 주꾸미의 암컷에 알이 찼으면 머리 부분이 노란 빛을 띤다고 합니다. 이 알은 한번 맛보면 잃을 수 없을 정도로 엄청난 맛을 자랑한다고 합니다. 주꾸미는 다양..

백합 조개? 그 맛은 한번 보면 큰일 납니다!

껍떼기의 위아래가 딱 맞아서 한번 입을 다물면 좀처럼 열기 어렵다는 의미에서 순결, 정절, 백년해로 등의 상징성을 가지는 조개로써의 백합은 조개의 여왕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매끈한 모양새 뿐 아니라 은은한 향이 나는 속살 맛이 일품입니다. 요즘 백합은 샤브샤브집에서도 볼 수 있는 만큼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고 맛도 인정받고 있습니다. 오늘은 백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백합은 영어로 "Clam"이라고 부르며 미국의 대표적인 스튜인 클램차우더의 주재료입니다. 진판새목 백합과에 속하는 조개로, 껍데기의 길이는 90mm, 높이 72mm, 너비 43mm의 이매패류입니다. 수심이 약 10m 부근에서 진흙모래 또는 바닥에서 중형의 부유물을 여과섭식하는 식용조개입니다. 껍데기가 두껍고 매우 단단하여 쉽게 깨어지지..

대게... 대게의 철이 왔어용!!

대게는 보통 제철이 11월부터 5월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그 중에서.. 가장 맛있는 철이... 2월이라고 합니다... 근데 2월이 제철이라고 하는데.. 가면 .. 먹을게 없다고 많이들 말씀하십니다. 근데.. 대게가 살이 가장 많을 때가.. 보름달이 뜨지 않는 그믐달이라고 합니다. 보름달이 되면 산란이 시작되어... 대게가 살이 쏘옥 사라진다고 하네용.!! 다들 많이 알고 계시는 내용이지만.. 혹시나 하는 마음에... 오늘은 대게에 대해 포스팅 해보고자 합니다. 대게는 우리나를 비롯하여 일본, 러시아, 알래스카 등의 태평양 연안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깊은 바다에 수온이 낮고 수심이 깊은 바다의 모래나 진흙 속에서 살고 있다고 합니다. 대게는 살이 많고 담백한 맛!!! 특히 찜으로 먹는게 좋..

한국, 일본, 프랑스만 먹는 귀한 음식!!! 골뱅이

골뱅이를 먹는 나라는 전세계적으로 한국, 일본, 프랑스만 먹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세계 소비량의 80%에 해당하는 골뱅이가 우리 술상에 골뱅이 무침, 골뱅이 소면 등으로 소비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이 골뱅이 통조림인데.. 다들 원산지를 보셨나요? 우리나라에서 유통되는 골뱅이 통조림은 전부 수입산으로 만들어 진다고 합니다. 우리가 수입하는 곳은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수입하고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골뱅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골뱅이는 복족류 고둥의 일종으로 큰구슬우렁이라고 부릅니다. 상큼하고 쫀득거리는 맛과 재밌는 식감으로 인해 골뱅이 무침, 골뱅이 소면, 골뱅이탕 등으로 다양하게 술안주로 많이 먹고 있습니다. 골뱅이는 따로 철이 없으며 1년 내내 항상 건강한..

우리가 아는 소라는 과연???

딱딱한 껍질을 가지고 있는 소라는 쫄깃한 식감을 가진 속살을 회로 먹고, 삶아 먹고.. 참 다양하게 먹는데.. 이 맛은 정말 끝내줍니다. 근데.. 우리가 참소라라고 하면 구글에서 두가지 종류의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소라와 비슷하게 생긴 생물을 소라라고 칭하고 비싼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소라에 대해 포스팅 해보고자 합니다. 구글에서 소라를 검색하게 되면 나오는 두가지 종류의 소라(?) 를 보시면... 어떤 것이 진짜 소라인지 아시나요? 바닷가에서 쭈욱 살았던 저도 참 헷갈리게... 왼쪽에 있는 그림이 참소라이고.. 오른쪽에 있는 그림은 피뿔고둥이라는 겁니다. 피뿔 고둥은 우리나라 남해나 서해 연안에서 분포하고 있으며 수심이 약 10m 정도에서 모래나 펄에 섞여 있는..

산나물의 제왕이라는 그분!!! 취나물

봄나물은 정말 다양합니다. 약 1,300여가지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가 접하는 봄나물은 60여가지 정도 된다고 합니다. 우리가 참 많이 먹는 봄나물중에 하나인 취나물은 특유의 향과 쌉사름한 맛이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취나물은 종류는 무려 60여종이나 됩니다. 이중 24종이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취나물 중에 참취는 더덕, 고사리, 도라지에 이어 4번재로 많은 재배면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나물로써 다양하게 우리나라에서 특히 많이 먹는 취나물에 대해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취나물은 우리나라 어디에서 다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철은 3월에서 5월중인 대표적인 봄나물로써 데친 후에 나물로 많이 먹으며, 뛰어난 약용성분으로 인해 한약재료로도 많이 사용합니다. 에너지 에너지 53kcal ..

약재로 많이 사용한 씀바귀!!!

민들레와 항상 헷갈렸던 씀바귀.. 저만 헷갈린 것일수도... 3~4월에 제철인 봄나물의 대표 제철 나물인 씀바귀는 나물이나 무침으로 많이 먹습니다. 시골, 들판, 논두렁 등의 어디에서나 흔히 볼 수 잇는 씀바귀는 지역마다 쓴귀물, 싸랑부리, 쓴나물, 싸랭이, 꼬채라고 부르는 다양한 이름을 가지고 있는 씀바귀에 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씀바귀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써,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등지의 아시아에서 많이 분포되고 있습니다. 뿌리와 잎에 있는 흰즙의 맛이 써서 씀바귀라는 이름을 가졌다고 합니다. 씀바귀는 오래전부터 효능이 잘 알려져 있어서 약재로 많이 사용하였습니다. 에너지 에너지 55 단백질 2.5g 당질 11.2g 지질 0.6g 식이섬유 6.6g 회분 0.7g 무기질 나이아신 0.8m..

다들 꽃으로 한번 봤던 기억이 나는 원추리...

긴 꽃통이 있고, 백합과에 속하는 원추리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7-8월 경에 꽃을 피는 원추리는 꽃줄기가 올라와 예닐곱 송이의 매일 차례로 피어납니다. 이러한 원추리는 봄나물이라고 알고 계셨나요? 가난한 시절에 구활식물로 쓰여진 원추리는 뿌리는 약재로 쓰이며 어린 싹이나 꽃은 데쳐서 나물로 무쳐 먹었다고 합니다. 기다리는 마음이라는 꽃말을 가진 원추리는 봄나물로써 3-4월이 제철입니다. 주리고아 잎은 냉이나 달래처럼 나물로 쓰이며, 뿌리는 약용으로 사용하는 원추리는 정말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에너지 에너지 35kcal 수분 87.1% 단백질 5.2g 지질 0.3g 당질 4.4g 섬유소 2.1g 회분 0.9g 비타민 비타민A 3,402IU 비타민B1 0.11mg 비타민B2 0.13mg 비타민C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