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410

생각지도 못한 레드키위에 대한 고찰?

키위에 대해 포스팅을 하다보니 레드키위라는 것을 알게되었다. 다들 알고 계실꺼라고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모르고 있는 것을 알게 되었고, 포스팅 소재에 목말라하던 저에겐 ㅋㅋㅋ 가뭄에 한줄기?? 느낌으로 레드키위에 대해 포스팅 해볼려고 합니다. 키위는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다양한 종류의 품종을 가지고 있는데, 우리가 쉽게 볼 수 있는 것은 골드키위와 그린 키위 정도입니다. 뉴질랜드 기업인 Zespri에서 엄청나게 많은 양을 생산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만 볼 수 있는 키위!! 즉 레드키위는 무화과와 그린 키위를 접목시켜서 만든 품종으로써, 제주도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습니다. 레드 키위는 골드키위보다 단맛이 강하고, 속안을 보게 되면 외관상으론 키위와 동일하지만 중간 부분에 마치 무화과를..

골드 키위와 그린 키위.. 그 둘의 차이는??

키위는 앞선 포스팅에서 정말 많은 영양소를 가진 "천연 영양제"로, 우리는 정말 좋은 과일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가격대를 보면 항상 골드 키위가 좀 더 비싸다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가격 만큼이나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는... 단맛이 조금 높은 정도 밖에 모르는 저를 위해 골드키위와 그린 키위에 대해 비교해 보겠습니다. 골드 키위는 키위 제국인 뉴질랜드에서 만든 신종 키위입니다. 그린키위의 신맛을 줄이고, 단맛을 끌어올린 것입니다. 골드 키위는 그린키위에 비해 과육이 부드러운 편입니다. 영양면에서는 어떠한 차이가 있을까요? 둘다 차이가 있지만, 그린키위는 식이섬유, 칼슘, 아연, 비타민A, 비타민K가 우세하며, 골드 키위는 비타민 C, 리보플라빈, 비타민 B12가 우세합니다. 100g 당 단위 그린..

뉴질랜드의 특산물 그린 키위.. 근데 원산지는 중국?

키위는 뉴질랜드의 특산물로 우리가 잘고 있는 제스프리(Zespri) 라는 세계 최대 키위 브랜드로 현재 세계 시장 점유율이 30%에 달합니다. 제스프리는 1997년도에 뉴질랜드 생산자들이 설립한 협동조합을 시작으로 세계 어느 곳곳에서 볼 수 있으며 뉴질랜드와 출하기가 다른 제주도 등에도 키위를 심어서 "제스프리"이름을 달고 생산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키위에 대해 알아볼려고 합니다. 키위의 원산지는 중국입니다. 60여종에 달하는 다래나무 속 식물들의 대부분은 중국 양쯔강 유역 등에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도 다래나무 속에 속하는 4종이 존재하는데, 다래 & 개다래 & 쥐다래 & 섬다래 입니다. 현재 개발된 과종의 키뉘는 뉴질랜드에서 개량된 품종들입니다. 우리가 흔히 먹는 그린 키위 품종은 헤..

인류 최초의 작물인 바나나. 한때 부자들의 상징?

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과일 중에 하나인 바나나는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먹지만 아프리카 지방 어느 한 곳에서는 주식일 만큼 중요한 식량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과일로써 날로 먹거나, 디저트용 음식, 과자, 음료 등의 가공식품까지 정말 다양한 방법으로 먹는 바나나가 원래는 "씨"있는 과일이었다고 합니다. 오늘은 바나나에 대해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바나나는 높이가 3m에서 10m까지 되는 나무에서 열리는데, 정확하게 표현하면 나무에서 열리는 것이 아니라 풀에서 열리는 겁니다. 바나나 농장에서는 바나나를 수확하자마자 베어버리는데, 바나나는 한번 열린 줄기에서는 다시 바나나가 열리지 않습니다. 바나나는 여러 해살이 풀로 재배하기 까다롭지 않는 풀입니다. 원산지는 열대 아시사 인도 말레이시아입니다. ..

파인애플!! 소화를 도와주는 건강한 비타민 덩어리!!

파인애플은 우리가 알고 있는 과일 중에 가장 특이하게 생겼다고 해도 될 정도로 정말 단단한 껍질에 달콤한 과육으로 가득찬 말랑말랑하게 과육이 채워져 있습니다. 제가 먹은 것 중에서 정말 달지 않는 파인애플이 없을 정도로 항상 맛있음을 보여주는 과일입니다. 오늘은 몸에도 좋다고 하는 파인애플, 국내산으로도 나오고 있는 파인애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남아메리카 북부쪽을 원산지로 두고 있는 파인애플은 1690년대에 솔방울과 모양이 비슷하여 "Pineapple" 이라는 솔방울을 가리키는 영단어 였습니다. 파인애플이 워낙 유명해지고 솔방울이라는 영어 단어는 "Pineapple"에서 "Pine cone"으로 변하게 되었습니다. 솔방울이라는 표현은 원래 수류탄이라는 속어도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1960년대에..

생일, 기념일에 먹는 케이크.. 근데 왜??

우리는 당연하게 생일이나 기념일에 케이크를 찾고 먹게 됩니다. 예전에는 빵을 좋아하지 않아서 보기만 했었는데... 나이가 들다보니. 단게 좋더라구요. 달달하고, 요즘 케이크가 예전보다 덜 달고 하고!! 제 입맛이 바뀐건지.. 그만큼 케이크가 잘 나오는건지.. 암튼.. 오늘은 케이크에 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케이크는 다들 아시다시피, 달걀과 밀가루, 설탕을 주로 이용하여 특정한 모양 (대부분 둥근 형태)로 모양을 만들어서 구운 디저트로, 빵의 일종입니다. 케이크의 기원은 신석기때부터 찾기도 하지만 베이킹 파우더와 백설탕을 이용하여 구워낸 우리가 알고 있는 케이크는 19세기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케이크의 어원은 13세기경 고대 튜튼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튜튼어의 "kaka"라는 표현에서 영어 "K..

달달한 초콜릿!! 전 두통이 심할때 먹으면 좋더라구요!

초콜릿 하면 항상 떠오르는 것이 발렌타인 데이입니다. 2월 14일.. 참 누가 만들었는지 많은 사람들을 울게 웃게 만드는 날입니다. 업계의 통설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연간 초콜릿 매출의 30%가 발렌타인데이에 발생한다고 할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발렌타인 데이에 초콜릿을 주곤 하는데요. 초콜릿은 다이어트에 좋지 않다고 하여 다들 그렇게 즐겨 먹지는 않는데... 한번씩 먹으면 정말 달달한 기분을 느낄수 있는 초콜릿에 대해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최초의 초콜렛은 달지 않는 음료로 먹었다고 합니다. 고대 마야시대(100~600년 사이) 에서 마야인들은 카카오를 왕궁이나 종교 의식용 음료로 만들어 먹었다고 합니다. 카카오나무에서 수확한 씨앗을 발효한 후 볶고 빻아 반죽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여기에 물과 칠레고추 그리..

감귤 중의 수입산 만감귤!! 오렌지

말만 들어도 기분 좋아지는 과일!! 향기도 좋고 맛도 좋은 오렌지에 대해 포스팅을 해보고자 합니다. 비타민C가 풍부하면서 과즙이 많이 나와 착즙이라던지 자체적으로 음료를 만들어서 먹는 오렌지... 껍질가지도 좋다고 하니.. 오렌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렌지는 감귤 중 만감류에 속하는 열매입니다. 만감류로 말씀드리면 예전 말씀드렸던 한라봉, 천혜향, 레드향과 같은 종류입니다. 모양이 둥글고 주황빛을 띠고 있으며 껍질이 두껍고 과즙이 정말 많습니다. 오렌지는 우리나라에서 수입되는 종으로 발렌시아, 네이블, 블러드가 있습니다. 수입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재배 되는데, 네이블과 청견이라는 품종들이 있습니다. 발렌시아 2~11월이 제철 세계에서 가장 흔한 오렌지 박피가 어렵고 풍미가 강화며 과육이 많음 과..

더덕의 암?수?가 있었다니....

향긋한 향과 맛으로 겨울철 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더덕은 1월에 꼭 먹어야 하는 제철음식입니다. 뿌리 채소이다 보니 흙과 껍질, 하얀 진액으로 인해 손질하는게 까다롭지만... 영양 만큼은 최고인 더덕입니다. "산에서 나는 고기"라고 불릴 정도로 영양소가 풍부한 더덕!! 더덕하나 잘 먹고 이 힘든 겨울 잘 버티자구요. 더덕은 인삼처럼 사포닌과 알칼로이드 성분 등이 풍부해 한의학에서 열이 많은 사람에게 인삼 대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한약재입니다. 더덕은 음기를 보하고 폐를 맑게 해주어서 가래와 기침을 잦게 하고, 건조하고 온도가 낮은 우리나라의 겨울철에 자주 오는 천식에도 효과가 좋다고 합니다. 미세 먼지의 오염도가 심할수록 구리, 납,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들이 자주 날아다니게 됩니다. 이러한 중금속등을 ..

단백질로 인한 잘못된 통풍의 오해!!

단백질을 너무 많이 섭취해서 통풍을 생긴다는 둥, 운동을 너무 하면 통풍이 생긴다는 둥... 단백질 보충제와 같은 쉐이크 등을 많이 먹으면 통풍이 발병 난다는 둥... 이상한 오해들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오해들은 전부 부가적인 현상으로 일어난 것이지 단백질 자체가 통풍에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한 것은 아닙니다. 오늘은 통풍이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통풍은 고대 유럽 지역의 그림 및 기록으로 남아 있을 정도로 매우 오랫동안 우리를 괴롭혔던 질병으로 특히 고기를 비롯한 음식과 술을 마음껏 먹고 마실 수 있는 왕 및 부유층에게 많이 발생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어서 "황제의 병"이라고 불렸다고 합니다. 통풍은 관절 부분에서 견디기 힘들 정도의 강한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 통풍으로, 이러한 통풍으로 인해 증상..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