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에게 있어 강낭콩은 초등학교때에 처음 씨앗을 심어본 식물입니다. 누구나 쉽게 키울 수 있어서 그런지 모르는 저에겐 커더란 부담감을 가지고 시작했던 강낭콩 심기!! 요즘은 어떤가요? 저 때만 하더라도 씨앗을 삼고 그랬었는데.. 저희 아들이 어린이집에서 식목일이라고 심는거 보니 모종을 가져다가 심더라구용. 요즘은 모종으로 ... 서두가 길었네요. 6월 제철 마지막 시간으로 강낭콩을 준비하였습니다.
강낭콩은 콩과의 한해살이풀입니다. 강남두, 한때 강남콩이라는 표준어로 사용한 적이 있었지만, 현재는 강낭콩이 표준어로 굳혀졌습니다. 강낭콩은 우리나라가 원산지가 아니라 아메리카에 널리 분포하고 있습니다.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 등이 원산지로 꼽히고 있습니다.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 이후에 스페인에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유럽 전역으로 전파되었습니다. 그리고 추후 아시아로 넘어왔다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중국 남부지방에서 전파되었는데, 일제강점기 때 일제가 콩 종자를 도입하여 식용으로 재배한 것이 우리나라에 첫 도입이라고 하네요.
높이는 20-250cm정도되며 줄기부분에 털이 있고, 덩굴성과 곧게 서 있는 왜성으로 강낭콩의 종자가 구별됩니다. 잎은 삼출복엽이고, 6-7월에 자주색, 백색, 홍색 등의 곷이 피게 되며, 열매는 원통형이거나 좀 납작한 원통형의 꼬투리입니다. 꼬투리는 꽃이 진 자리에서 형서오디는데, 길이가 4.5-18cm이며 타원형으로 강낭콩이 1-9알정도 들어 있습니다. 강낭콩은 품종에 따라서 붉은색 (강낭콩, 붉은 팥), 검은색 (검은콩), 흰색 바탕의 붉은색 무늬 (호랑이콩) 등이 존재합니다.
퍽퍽한 식감이 팥과 유사하기에 제과 재료 중 백앙금은 원래는 팥의 붉은 껍질을 제거하여 만들었지만, 요즘 나오는 백앙금은 대부분이 강낭콩으로 만들어집니다. 그럼 팥으로 만든 백앙금은 거피팥앙금, 거피팥고물이라고 부릅니다. 팥앙금에 대해 자세히 보면 팥 절반, 강낭콩 절반이 섞여 있는 것도 있어 한번식 앙금드실때 성분표 한번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베이크드 빈즈는 강낭콩으로 만듭니다. 삶은 콩에 토마토 소스를 이용하여 만들지만, 강낭콩을 그냥 삶아서 먹는 것에 비해 훨씬 수월하여 대부분의 강낭콩은 베이크드 빈즈로 해먹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합니다. 강낭콩은 생으로 먹는 것이 어려운 것이 렉틴이라는 독소가 있어서 렉틴이 장출혈, 토혈, 발한, 오한, 빈맥, 복부경련을 일으킨다고 합니다.
에너지 | 에너지 | 332.9kcal |
탄수화물 | 60g | |
단백질 | 24g | |
지방 | 0.9g | |
무기질 | 나트륨 | 11mg |
칼륨 | 344mg | |
칼슘 | 31.3mg | |
구리 | 0.3mg | |
철 | 1.5mg | |
마그네슘 | 38.6mg | |
망간 | 0.3mg | |
인 | 68.1mg | |
셀레늄 | 1.1ug | |
아연 | 0.7mg | |
비타민 | 엽산 | 109ug |
나이아신 | 5.4mg | |
판토텐산 | 0.7mg | |
피리독신 | 0.2mg | |
리보플라빈 | 0.5mg | |
티아민 | 0.7mg | |
비타민A | 3.7IU | |
비타민C | 71.2mg |
- 장건강
풍부한 식이섬유는 장의 연동운동을 촉진하여 배변활동 원활히
- 면역력 강화
사포닌 성분이 대량 함유하고 있어 체내 신진대사와 혈액순환 촉진
- 피로 회복
풍부한 단백질 및 비타민이 고르게 함유하고 있어 기력 포충 및 원기 회복
- 빈혈 개선
다량의 철분이 적혈구 생성 촉진
- 당뇨 개선
풍부한 아연 성분이 인슐린 생성의 원료가 되어 당뇨 증상 개선
- 혈관 건강
레시틴 성분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고, 피를 맑게 해주는 작용
- 간건강
풍부한 단백질 및 아미노산 성분이 간세포 재생 및 활성화 촉진
- 성장 발육
풍부한 단백질 및 비타민과 필수아미노산은 성장기 어린이의 성장 발육 촉진
- 갱년기 증상 개선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이소플라본 성분이 풍부하여 갱년기 증상 완화
강낭콩.. 조사하다보니 요즘도 심는다고 하네용. 다들 첫 식물이 강낭콩인 사람이 좀 많을 것 같긴 한데...
'우리 일상에서의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하면 딱 생각나는 과일!! 수분 보충은 수박으로!!! (17) | 2022.06.02 |
---|---|
살구 씨앗에 있는 독성... 그럼 과육은 괜찮을까? (22) | 2022.05.31 |
오징어와 비슷하지만 높은 대접을 받는 한치의 세계 (21) | 2022.05.27 |
새콤달콤의 상징!! 6월의 빨간 열매!! 앵두!! (9) | 2022.05.26 |
색깔로 알아보는 파프리카의 신비! (10) | 2022.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