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표현중에 일본의 그림자가 일링거리지 않는 곳이 없습니다. 최근 포스팅에서 생선회를 하다보니.. 생선회에.. 일제의 더러운 얼룩들이 좀 많음을 느꼈습니다. 특히 남동해 바닷가 주변에 쭈욱 늘어져 있는 생선회집에 들어가 보면 차림표에 일본 표현들이 정말 많습니다. 많은 분들이 언어순화을 위해 정말 노력하지만.. 아직 많은 곳에서 필요로 느끼고 있습니다. 오늘은 먹는 포스팅을 잠시 멈추고 우리말 바꾸기 라는 느낌으로 세꼬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생선회란 참 좋은 우리나라 표현이 있습니다. 많이 바뀌었지만..아직도 차림표를 보게 되면 버젓이 "사시미" 라는 일본 표현들이 적혀져 있습니다. 오징어는 "이까", 학공치는 "사요리", 돌돔은 "이시다이", 갯장어는 "하모", 참치는 "마구로", 붕장어는 "아나고", 보리새우는 "오도리", 전갱이는 "아지", 뼈째 썰기는 "세꼬시" 등... 정말 순화가 필요한 실정입니다.
돼지고기... 소고기를 먹는 식당에서는 덜한편인데... 횟집에서는 꼭 듣는 표현들이 있습니다.. "스께다시 좀 더 주세요"... 우리나라 표현으로 바꾸면 "밑반찬 좀 더 주세요" 라는 표현인데.. 정말 당연하게 쓰고 있습니다. 고추냉이를 "와사비"로... 저도 어릴때는 와사비가 표준어 인줄 알았습니다.. 그정도로 흔하게 사용하고 있는 표현입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세꼬시라는 표현은... 작은 생선을 뼈채 잘게 썰어낸 회의 종류를 일컫습니다. 일본에서는 '세꼬시'를 '背越(せごし)'라고 해서 일본사전에 보면 '붕어, 은어 등과 같은 작은 물고기를 머리, 내장, 지느러미 등을 제거하고 뼈째 3~5밀리미터 정도의 두께로 자르는 방법'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아나고(穴子, あなご)', '마구로(鮪, まぐろ)', '사시미(刺身, さしみ)' 처럼 일본표현들입니다.
이러한 일본 표현들이... 일제시대 때부터 왔다고 할 수 있지만..저는 개인적으로 다른 생각을 합니다. 저도 그렇게 많이 공부를 하지 않았지만.. 우리나라에서 학문을 하게 되면 외국서적들을 보게 됩니다. 거기 서적들에 있는 표현들을 우리나라 말로 순화하지 않고 곧장 표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당연히 원표현을 사용하여 정확한 의사 전달을 하는 것이 중요하나... 굳이 우리나라 표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집을 피우면서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들 일제강점기에 항상 초점을 두고 이러한 논설들을 하시는데.. 저는.. 우리나라 문화를 생각의 전환이 필요하지 않을까 개인적인 생각을 올려봅니다. 우리나라 표현도.. 저렴하지 않다는.. 생각을 가졌으면 합니다. 너무 주저리 떠들었네요. 오늘은 너무 감정 이입을 하게 되었네용. 주말 다들 잘 보내세요
'우리 일상에서의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포리와 멸치.. 그 둘의 미묘한 차이? (8) | 2022.03.22 |
---|---|
4월은 봄멸치!!! 이번에는 꼭 축제가 열렸으면... (8) | 2022.03.21 |
국민 횟감으로 불리는 2번째!! 우럭! (14) | 2022.03.17 |
뽈락? 볼락!! 다양한 종류를 가진볼락? (18) | 2022.03.16 |
오늘은 자몽의 종류!!! (14) | 2022.03.15 |